문자열에서 또 하나 알아야 할 것으로는 문자열 포매팅이 있다.
쉽게 말해 문자열 포매팅이란 문자열 안에 어떤 값을 삽입하는 방법이다.
1.숫자 바로 대입
"I eat %d apples." %3
'I eat 3 apples.'
위 예제의 결곽값을 보면 알겠지만 위 예제는 문자열 안에 정수 3을 삽입하는 방법을 보여 준다.
문자열 안에서 숫자를 넣고 싶은 자리에 %d 문자를 넣어 주고, 삽입할 숫자 3은 가장 뒤에 있는
% 문자 다음에 써 넣었다. 여기에서 %d는 문자열 포맷 코드라고 부른다.
2.문자열 바로 대입
문자열 안에 꼭 숫자만 넣으라는 법은 없다.
이번에는 숫자 대신 문자열을 넣어 보자.
"I eat %s apples," %"five"
'I eat five apples,'
위 예제에서는 문자열 안에 또 다른 문자열을 삽입하기 위해 앞에서 사용한 문자열 포맷코드
%d가 아닌 %s를 썻다.
숫자는 %d 문자는 %s
3.숫자 값을 나타내는 변수로 대입
number = 3
"I eat %d apples." %number
'I eat 3 apples.'
1번처럼 숫자를 바로 대입하나 위 예제처럼 숫자 값을 나타내는 변수를 대입하나 결과는 같다.
4.2개 이상의 값 넣기
그렇다면 문자열 안에 1개가 아닌 여러 개의 값을 넣고 싶을 땐 어떻게 할까?
number = 10
day = "three"
"I ate %d apples. so I was sick for %s days." % (number, day)
'I ate 10 apples. so I was sick for three days.'
위 예문처럼 2개 이상의 값을 넣으려면 마지막 % 다음 괄호 안에 콤마(,)로 구분하여 각각의 값을 넣어 주면 된다.
문자열 포맷 코드
%s 문자열
%c 문자 1개
%d 정수
%f 부동 소수
%o 8진수
%x 16진수
출처: 점프 투 파이썬
파이썬의 기초, 리스트 자료형 (0) | 2021.03.08 |
---|---|
파이썬의 기초, 문자열 관련 함수 (0) | 2021.03.07 |
파이썬의 기초,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(0) | 2021.03.06 |
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, 문자열 연산하기 (0) | 2021.03.05 |
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, 문자열 자료형 (0) | 2021.03.04 |